반응형
① 조기수령과 만기수령의 차이점
국민연금은 본래 출생연도별 지급개시 나이에 맞춰 받지만,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5년 앞당겨 조기수령 가능해요.
구분 | 내용 |
조기수령 | 법정 연금개시 연령 5년 전부터 수령 가능 (단, 감액 적용) |
만기수령 | 법정 연령까지 기다렸다가 100% 금액 수령 |
② 조기수령 감액률
조기수령을 선택하면 매년 6%씩 감액됩니다.
최대 5년 조기 수령 시 총 30% 감소.
조기 수령 시기 | 감액률 |
1년 조기 | -6% |
2년 조기 | -12% |
3년 조기 | -18% |
4년 조기 | -24% |
5년 조기 | -30% |
예시) 본래 월 100만 원 수령 예정 → 5년 조기수령 시 월 70만 원 지급
③ 조기수령이 유리한 사람 vs 만기수령이 유리한 사람
조기수령 | 만기수령 |
수명이 짧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가족력이나 본인 건강상태로 평균수명보다 짧다고 판단되면 일찍 받는 것이 유리. |
건강 상태 양호하고 장수 가능성이 높은 경우 오래 살수록 감액 없이 받는 만기수령의 총액이 훨씬 많아짐. |
소득이 없고 생활비가 급한 경우 조기 수령으로 매월 일정액이라도 생활비 충당. |
퇴직 후에도 일정한 소득이 있는 경우 굳이 감액된 연금을 받을 필요 없음. |
투자 계획이 있는 경우 조기 수령 후 투자를 통해 수익률을 낼 자신이 있다면 선택 가능. |
세금 부담 최소화 계획 만기수령은 조기수령보다 연간 총수령액이 높아 세액공제 혜택도 더 큼. |
④ 본인에게 유리한 선택 확인법
✔ 국민연금공단 ‘내연금’ 사이트 이용
- 내연금 홈페이지 접속
- 로그인 후 →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조회
- 조기수령/만기수령 시뮬레이션 기능 활용
- 총수령액 비교로 본인 상황에 맞게 판단
✔ 간단 계산 공식
조기수령 월액 × (예상수령기간) vs 만기수령 월액 × (예상수령기간)
Tip 예상수명 85세 기준으로 비교하면 총 수령액 차이 쉽게 확인 가능
⑤ 국민연금 수령 꿀팁
1. 10년 이상 가입 유지가 필수
- 10년 미만은 연금이 아닌 반환일시금(일시지급)으로 전환
2. 추가납입으로 납입기간 늘리기
- 사적연금보다 효율적으로 연금액을 늘릴 수 있음
3. 연금소득세 절세
- 연간 연금수령액이 1,200만 원 이하일 경우 종합과세 대신 분리과세 신청 가능
4. 소득 있는 노후에는 연기연금 고려
- 최대 5년 연기 가능, 연기 시 1년마다 7.2% 가산 → 최대 36% 인상
반응형
'도움이 되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국민연금 지급 나이 바뀐다? 수령액 ·수령나이·일시금 수령 조건까지 (0) | 2025.07.15 |
---|---|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 퇴치방법 총정리 (1) | 2025.07.01 |
2025 공기청정기 추천|가성비부터 고급형까지 가격대별 TOP 9 정리 (3) | 2025.06.13 |
가족·커플|6월 국내 여행지 추천 TOP7 (feat.2025 장마 예상 시기) (2) | 2025.06.10 |
다이어트 식단 추천 | 집에서 쉽게 만드는 저칼로리 레시피 TOP5 (2) | 2025.06.09 |
2025 에너지 바우처 신청방법, 국민행복카드|자격조건, 지원금액 (3) | 2025.06.07 |
쾌적한 서울 실내 데이트 코스 추천 TOP5|비 오는 날 가기 좋은 곳 (3) | 2025.06.05 |
2025년 산후조리원 지원금 총정리|지역별 조건·금액·신청방법까지 (0) | 2025.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