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움이 되는 생활정보

국민연금 조기수령 vs 만기수령|나에게 유리한 선택은?

by happy orange 2025. 7. 16.
반응형

국민연금 조기수령 만기수령

① 조기수령과 만기수령의 차이점

국민연금은 본래 출생연도별 지급개시 나이에 맞춰 받지만,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5년 앞당겨 조기수령 가능해요.

구분 내용
조기수령 법정 연금개시 연령 5년 전부터 수령 가능 (단, 감액 적용)
만기수령 법정 연령까지 기다렸다가 100% 금액 수령

 


② 조기수령 감액률

조기수령을 선택하면 매년 6%씩 감액됩니다.
최대 5년 조기 수령 시 총 30% 감소.

조기 수령 시기 감액률
1년 조기 -6%
2년 조기 -12%
3년 조기 -18%
4년 조기 -24%
5년 조기 -30%
 

예시) 본래 월 100만 원 수령 예정 → 5년 조기수령 시 월 70만 원 지급

 


 

③ 조기수령이 유리한 사람 vs 만기수령이 유리한 사람

조기수령 만기수령
수명이 짧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가족력이나 본인 건강상태로 평균수명보다 짧다고 판단되면 일찍 받는 것이 유리.
건강 상태 양호하고 장수 가능성이 높은 경우
오래 살수록 감액 없이 받는 만기수령의 총액이 훨씬 많아짐.
소득이 없고 생활비가 급한 경우
조기 수령으로 매월 일정액이라도 생활비 충당.
퇴직 후에도 일정한 소득이 있는 경우
굳이 감액된 연금을 받을 필요 없음.
투자 계획이 있는 경우
조기 수령 후 투자를 통해 수익률을 낼 자신이 있다면 선택 가능.
세금 부담 최소화 계획
만기수령은 조기수령보다 연간 총수령액이 높아 세액공제 혜택도 더 큼.

 

 


 

④ 본인에게 유리한 선택 확인법

 국민연금공단 ‘내연금’ 사이트 이용

  1. 내연금 홈페이지 접속
  2. 로그인 후 →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조회
  3. 조기수령/만기수령 시뮬레이션 기능 활용
  4. 총수령액 비교로 본인 상황에 맞게 판단

간단 계산 공식

조기수령 월액 × (예상수령기간) vs 만기수령 월액 × (예상수령기간)

 

Tip 예상수명 85세 기준으로 비교하면 총 수령액 차이 쉽게 확인 가능

 


⑤ 국민연금 수령 꿀팁

1. 10년 이상 가입 유지가 필수

  • 10년 미만은 연금이 아닌 반환일시금(일시지급)으로 전환

2. 추가납입으로 납입기간 늘리기

  • 사적연금보다 효율적으로 연금액을 늘릴 수 있음

3. 연금소득세 절세

  • 연간 연금수령액이 1,200만 원 이하일 경우 종합과세 대신 분리과세 신청 가능

4. 소득 있는 노후에는 연기연금 고려

  • 최대 5년 연기 가능, 연기 시 1년마다 7.2% 가산 → 최대 36% 인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