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① 국민연금 지급시기 변경 – 무엇이 달라지나?
현재 국민연금은 출생연도별로 지급 개시 나이가 다릅니다.
2025년 기준 지급 시점은 60~65세 사이이지만,
최근 정부가 제안한 연금개혁안에서는 67세 지급 개시 연령 상향 논의가 진행 중이에요.
출생연도 | 현재 지급 개시 나이 | 변경 논의안 (예상) |
1953~1956 | 61세 | 그대로 |
1957~1960 | 62세 | 그대로 |
1961~1964 | 63세 | 64~65세 가능성 |
1965~1968 | 64세 | 65~67세 가능성 |
1969 이후 | 65세 | 67세 상향 가능성 |
※ 최종 확정 시기는 2025년 말~2026년 초 예정
② 국민연금 수령 나이 & 출생연도별 차이
국민연금은 출생연도에 따라 지급 개시 나이가 다릅니다.
출생연도 | 수령 시작 나이 |
1953년 이전 | 만 60세 |
1953~1956년 | 만 61세 |
1957~1960년 | 만 62세 |
1961~1964년 | 만 63세 |
1965~1968년 | 만 64세 |
1969년 이후 | 만 65세 |
④ 조기수령 조건 (조기노령연금)
국민연금은 본래 지급 나이보다 최대 5년 먼저 수령 가능
단, 매년 조기수령에 따른 감액 적용됨.
✔ 조기수령 조건
- 만 55세 이상
- 국민연금 가입기간 10년 이상
- 소득활동 중단 또는 소득 일정 이하
✔감액률
조기 수령 연도 | 감액률 |
1년 조기 | -6% |
2년 조기 | -12% |
3년 조기 | -18% |
4년 조기 | -24% |
5년 조기 | -30% |
⑤ 국민연금 납입기간
- 최소 납입기간: 10년 이상 (120개월)
- 최대 인정기간: 40년 (480개월)
✔ 납입기간별 차이
납입기간 | 수령액 예상 (월) |
10년 | 약 30~40만 원 |
20년 | 약 60~70만 원 |
30년 | 약 90~100만 원 |
⑥ 국민연금 일시금 수령 조건
일시금(반환일시금)은 국민연금에 가입했다가 10년 미만 납입하고
수급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경우에 한해 신청 가능.
✔ 반환일시금 대상
- 국민연금 가입기간 10년 미만
- 만 60세(2026년 이후 65세) 도달
- 연금 개시 조건 미충족
신청 방법: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또는 지사 방문
반응형
'도움이 되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조기수령 vs 만기수령|나에게 유리한 선택은? (1) | 2025.07.16 |
---|---|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 퇴치방법 총정리 (1) | 2025.07.01 |
2025 공기청정기 추천|가성비부터 고급형까지 가격대별 TOP 9 정리 (3) | 2025.06.13 |
가족·커플|6월 국내 여행지 추천 TOP7 (feat.2025 장마 예상 시기) (2) | 2025.06.10 |
다이어트 식단 추천 | 집에서 쉽게 만드는 저칼로리 레시피 TOP5 (2) | 2025.06.09 |
2025 에너지 바우처 신청방법, 국민행복카드|자격조건, 지원금액 (3) | 2025.06.07 |
쾌적한 서울 실내 데이트 코스 추천 TOP5|비 오는 날 가기 좋은 곳 (3) | 2025.06.05 |
2025년 산후조리원 지원금 총정리|지역별 조건·금액·신청방법까지 (0) | 2025.06.02 |